말하는 이의 지성과 사회계급을 판단할 수 있는 영어가 있다.
많은 분들이 착각하는게 영어에는 높임말이 없다고 생각하는데 영어 말 몇 마디로 지성, 사회계급 및 교육수준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. 영어에 쓰이는 첫째, 어휘 그리고 둘째, 문장 구조로 판단합니다.
예를 들어보죠.
일상언어 Conversational language
예를 들어 단어는 get, put, do, need, make 가 있습니다. 이들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어요.
- 용례: 보통 일상회화에 쓰임
- 한국에서 초등학교~중1때 배우는 단어들
- 게르만어에서 유래
- 강하고 공격적으로 들림
- 음절이 짧다
아카데믹언어 Academic language
학술 언어는 동일한 의미의 단어로 찾자면 obtain, place, accomplish/conduct, require, fabricate/formulate 이러한 것들입니다.
- 용례: 수준 높은 대화, 학교, 학술지, 비즈니스 환경에서 쓰임, 영작문이나 이메일, Writing에 쓰임.
- 중3~고등학교 어휘, 토익, 토플, SAT, GRE 단어들
- 라틴어에서 유래
- 부드럽게 들림
- 음절이 길다
Know 의 고급 화법, 스펀지 기술
어휘의 선택이 지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고 했습니다. 아래 문장 몇개 보면 이해가 빠를 것 같습니다.
- I know this.
100% 내 지식이 전제. 단정적. 더이상 이야기 안해도 된다. 자만, 자랑하는 듯한 느낌. - To my best knowledge, this is what I know.
나를 낮추는 겸양 표현.. 내가 아는 바로는 .. ‘내가 알기론 그래’ - I think this is what it’s supposed to be.
나를 낮추는 겸양 표현. 나의 확신을 낮춰줍니다. - I understand what it meant.
너의 이야기를 경청했고 그래서 알겠다. 상대방이 개입됬죠.
여기서 know 대신에 knowledge, think, understand, meant 라는 의미로 다양하게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스펀지 기술, 문장 구조 바꾸기
- We don’t have an opening in sales.
- We can’t offer you the position this time.
- The sales position is not available at this time.
상대의 감정을 배려하는 표현을 추가한 경우 아래와 같이 톤 다운도 가능합니다.
- We regret to inform you that we won’t be able to offer you the sales position this time.
어떻게 다른가요?
영어만 배우는게 아니라 교훈도 있는것 같아요. 다시한번 생각도 정리가 되네요^-^
감사합니다. 🙂
두언어의 차이가 그렇게 되는군요~ 영어는 한국어 보다 더 어려운 것 같아요~~
그래도 중국어보다는 쉽지 않나요? ^^